[게시글 읽기 전 확인필요]
1.해당 게시글은 GA처음 접하는 '초보자'가 독학 후 복습을 위한 용도로 '작성한 글'입니다.
2.틀린내용 혹은 자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내용도 있으니, 반드시 다른 정보들로 추가 확인바랍니다.
[1]app+web 속성 개념
- web은 ga로, app은 파이어베이스로 분리시켜서 관리해야하나? > 그러면 불편하기 app+webb속성이 나옴 (하지만 아직 구글 나온지 얼마 안된 서비스)
- ga에서 관리 > 속성에서 app+web속성 >이렇게 만들면 app은 파이어베이스로 데이터 들어오고 web은 ga로 들어옴
[2]app+web 속성 특징
[3]app+web 속성 설정방법
(해당 내용은 좀 더 정확하게 검색필요)
1. web설정방법
1)GA에서 새로운 속성 만들기
2)앱 및 웹
3)속성 만들기 완료
4)데이터 스트림
속성 > 데이터 스트림 > 웹 클릭
5)웹 스트림 설정
- web스트림추가
(특히 아래 내용은 좀 더 정확하게 검색필요)
5-1)원래 사용하던 WEB 속성(추적코드까지 삽입한 속성)이 없는 경우
- 해당 GTAG삽입하고 연결된 사이트 태그까지 완료
5-2)원래 사용하던 WEB 속성(추적코드까지 삽입한 속성)이 있는 경우
- 기존 속성 들어가서 관리>속성>추적정보>추적코드 들어가보면 연결된 사이트 태그 생성되어 있음
- 들어가서 태그연결
5-3)GTM(구글 태그매니저)연결
- GTM은 태그 앱+웹구성 활용
6)향상된 전자상거래 측정
- 자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측정기능들 ON, OFF 가능
2. app설정방법
1)파이어베이스에서 APP 프로젝트 추가
2)마지막 단계에서 GA계정 연결
3)GA 돌아와보면 방금 파이어베이스서 생성한게 자동으로 속성에 추가되어있음
4)앱 데이터 스트림 추가
5)단계별 정보 입력하고 완료
[4]APP+WEB속성 보고서
- 사실 메뉴들이 파이어베이스와 유사하고 기능들도 거의 유사함 (한번씩 살펴보기)
- 왜 파이어베이스가 아닌 app+web속성 보고서에서 보는지는 아래 내용 참조
[5]왜 app+web속성 보고서에서 보는가?
1. web도 같이 분석 할 수 있어서
2. "분석"이라는 보고서 때문에
- 원래는 유료 360에서 고급분석으로 사용했던것. (분서허브,탐색,세그먼트중복…)
"분석 보고서"
1)탐색: 측정기준, 측정항목 넣을 수 도 있고, 다양하게 분석
2)세그먼트 중복: 세그먼트 2가지 이상 올려서 교차되는것들 분석
3)유입경로 분석: 단계별로 퍼널분석
4)경로 분석: 사용자 경로 분석
5)사용자 탐색기: 클라이언트ID 기준으로 심도있는 분석 (로그 분석 등)
'구글 파이어베이스(Firebas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어베이스] 1.기본 개념 (주요기능, 장단점) (0) | 2020.05.25 |
---|---|
[파이어베이스] 2.구글 파이어베이스 보고서 (0) | 2020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