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구글 애널리틱스/7.추가 내용

[GA-추가] 5. 데이터 가져오기 (임포트)

반응형

[게시글 읽기 전 확인필요]

1.해당 게시글은 GA처음 접하는 '초보자'가 독학 후 복습을 위한 용도로 '작성한 글'입니다.

2.틀린내용 혹은 자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내용도 있으니, 반드시 다른 정보들로 추가 확인바랍니다.

 

 

[1]데이터 임포트 개념

- GA에서 수집할 수 없었던 오프라인 데이터를 GA에 연동시키는 개념

예를들어) 

전환 > 다채널 유입경로 > ROI분석 보고서 보면은, 구글거(애드워즈,애드센스..)는 가져오는데 페이스북, 네이버 cpc같은거는 비용데이터 못가져옴 > 그래서 비용데이터 임포트 시켜서 보고서 분석

- 자동화로 가져올 수 도 있음 (개발작업필요)

 

 

[2]데이터 임포트 방법

1. 진입

- 관리 > 속성 > 데이터 가져오기 클릭 > 새로 만들기 클릭

 

2. 데이터 세트 유형 선택

- 여러 유형 중 임포트할 유형 선택 (예시로는 비용데이터로 진행)

- 유형마다 데이터 세트 스키마가 조금씩 다름

3. 데이터 세트 세부 사항

- 이름 및 데이터 사용할 보기 선택 (보기 중복 선택 가능)

4. 데이터 세트 스키마

- 키 선택 (중복 선택가능. 반드시 1개는 선택해야함)

- 하단의 키도 선택은 가능 

- 합계, 덮어쓰기: : 더 정확한 데이터를 내부에서 가지고 있으면 덮어씌우기. 그게 아니면 합계

5. 셋팅 완료

- 완료 되면 목록에 보여짐 > 업로드 매니저 클릭

6. 스키마 가져오기

- 스키마 가져오기 클릭

7. 스키마 다운

- CSV 헤더에 넣는 방법 VS 엑셀 탬플릿 다운받는 방법 (예시에서는 엑셀다운으로 진행)

- 엑셀다운이 더 심플할 수 있음

8. 탬플릿에 데이터 삽입

- 다운받은 엑셀 탬플릿에 데이터 삽입 (빨간 테두리 영역) 후 파일 저장

9. 다시 업로드 관리 선택

10. 파일 업로드

- 저장했던 엑셀 파일 업로드 

- 업로드 시 오류 있으면 > 이전에 만든 측정기준, 측정항목 맵핑에 문제 없는지 확인 필요

11. 최종 완료

- ROI보고서에서 확인 가능 (하지만 적용되는데 최대 24시간 소요됨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